알라딘

헤더배너
사회/역사/철학
rss
이 분야에 14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1.

생동감 넘치는 입말체로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은 로마의 주요 사건과 인물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냈다. 로마의 역사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생생한 그림으로 담아내 세계사를 바라보는 눈이 한층 더 넓어질 것이다.

2.

생동감 넘치는 입말체로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은 로마의 주요 사건과 인물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냈다. 작은 도시 국가 로마가 지중해의 대제국으로 성장해 눈부신 문화를 꽃피우고 동서로 분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까지 로마의 역사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생생한 그림으로 담아내 세계사를 바라보는 눈이 한층 더 넓어질 것이다.

3.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시리즈의 98권. 나는 지금 괴로운가(자각), 괴로움은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진단), 괴로움이 사라진 뒤에는 어떻게 되는가(치유), 괴로움을 소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처방)를 통해 석가모니가 제시한 해탈과 열반의 길로 나아가는 방법을 그려낸 철학책이다.

4.
5.
6.
7.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시리즈의 100권. 칼 마르크스의 저서 <자본론>을 동화로 재해석하였다. 자본주의의 모순점을 살펴 보며, 현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고 노동과 경제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가치 생산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배울 수 있다.

8.
9.
10.
11.
12.
13.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시리즈의 87권. '상징형식'이 문화를 만들었다고 주장한 에른스트 카시러의 사상을 만나볼 수 있다. 종교, 언어, 예술, 과학, 경제 등 우리 삶과 아주 가까이 있으며 우리 삶을 상징하는 것. 표현기능, 직관기능, 의미기능 세 가지 상징형식으로 구분되는 상징 사상을 소개한다.

14.
15.
16.
17.
18.

융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보완하면서 분석 심리학을 발전 시켰다. 무의식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탐구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을 칼 융이 이어받아 더욱 발전시켜 '분석심리학'을 세운 것이다. 융의 이론은 정신분열증이나 초능력 등 여러 특이 현상들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아울러 심리학의 범위를 개인의 차원에서 집단 심리, 사회 심리 등까지 확장 시켰다.

19.

20세기 독일의 실존철학을 대표하는 하이데거를 소개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를 이해하는 유일한 존재자인 인간(현존재)의 존재(실존)가 현상학적·실존론적 분석의 주제가 되고, 현존재의 근본적인 존재규정인 '관심'의 의미가 '시간성'으로서 확정된다고 주장한다.

20.

존 롤즈는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최소 수혜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기 위한 차등의 원칙을 주창했다. 환경 미화를 준비하면서 겪게 되는 5학년 4반의 갈등과 부반장 우진이의 고민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존 롤즈의 계약주의 정의론을 익히게 된다. 각 장 뒤에 철학 돋보기를 넣어 아이들이 더 생각해볼 수 있게 했다.

21.

동화를 읽으며 철학적 사고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이야기' 시리즈 38권. 세계의 본질을 '삶에의 의지'로 바라본 염세주의의 대표자 쇼펜하우어의 철학 세계를 담았다.

22.

동화를 읽으며 철학적 사고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이야기' 시리즈 41권. 당대 영국을 부국으로 이끈 이론을 제공했으며 지금까지 활용되는 경제원리를 정리해 <국부론>을 집필한 애덤 스미스의 경제, 철학 이야기를 만나본다.

23.

초등학생 주인공 주변에서 벌어지는 소소한 사건들을 통해 니체의 '초인 사상',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 등의 사상을 쉽게 풀어 들려준다.

24.

헤겔 철학의 중심 주제인 변증법과 진정한 자유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게 한 철학동화이다. 엄마 없는 외톨이로 자란 '정신'이는 친절하고 마음씨 따뜻한 '해결 선생님'이 운영하는 '착한 아이 공부방'에서 헤겔 철학을 배우게 된다.

25.

동화를 읽으며 철학적 사고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이야기' 시리즈 16권. 주인공 지혜와 꽃밭 고물상 아저씨와의 대화를 통해 '마음'과 '인간'에 관한 프로이트의 철학사상을 쉽게 전달하는 철학동화이다.